PR, PO(Purchase Order, 구매 발주)

Order Sheet와 같은 뜻으로 사용되는 용어로서 일종의 개별계약서이다. 매매계약이 성립된 후에 계약내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입업자가 작성하여 수출업자에게 송부한다.

PR PO
P.O : PURCHASE ORDER (구매 발주)
B.O.M : BILL OF MATERIAL (도면상에 표기하는 재질 등을 비롯한 자재 정보 리스트)
P.O.R (PR) : PURCHASE ORDER REQUISITION (구매 발주 요청서)
POR은 설계쪽에서 발행하여 구매로 보내는 구매발주요청서이며,BOM(자재목록표)와 POS(구매사양서,Purchase Order Specification)과 같이 보냅니다. POS는 구매물품의 규격등을 표시한 도면이나 자료 등을 말하구요.
POR을 접수한 구매에서는 업체로 PO(구매발주서)를 보내지요.


Silo

풋바심 작물이나 목초를 채워 엔실리지(ensilage)를 만들기 위하여 돌·벽돌·콘크리트 등으로 만든 저장고. 저장탑. 순화어는 저장탑',저장 창고’.

2018-11-05 추가 시작

사일로는 단순하게 저장을 위한 용도이기도 하지만 그 저장 이라는 의미가 다음공정으로 가기위한 대기상태인 경우가 많은듯 합니다, 흔히 말하는 창고 개념은 아니었더라고요, 포장 사일로 이런식으로 표현하면 포장되기위한 공정에 직전에있는 저장상태 정도로 인식하면 될듯하고 배합 사일로 이건 1개의 원료가 아닐때 혼합을 위한 사일로 용도로도 사용되는듯 합니다 화학 공정을 정확하게 아직 이해한 상태는 아니지만 저장탑, 저장 창고 처럼 위에 명시한 용도로 사용되는건 산업군마다 느낌이 조금씩은 다른듯 합니다.

2018-11-05 추가 끝

2018-11-21 추가

스타크레프트 1 하다보니..(심심해서 ….) 테란 핵 만들면 옆에 붙는게 nuclear silo 였다


WMS (Warehouse Management System, 창고관리시스템)

WMS(Warehouse Management System)은 기업 ’전체 재고 에 대한 가시성을 제공하고 제조 업체 또는 도매 유통 업체부터 물류 창고, 소매 유통 업체, 그리고 마지막으로 매장 진열대에 이르기까지 공급망 주문 이행 업무를 관리하는 소프트웨어 솔루션입니다


EP(Engineering Plastics,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EP라는 약어를 사용하는 용어는 아마 엄청 많을 것이지만….
지금 화학MES 공정에서 자주 등장하는 EP가 무엇일까 찾아보다가 정리합니다.

일반 플라스틱의 물적 특성과 비슷하지만, 내열성과 내구성이 보다 뛰어나서 ‘고기능성 플라스틱’이라고도 불립니다. 그래서 전자기기의 케이스나 자동차의 외장 부품 등에 자주 사용되죠.


Serial 통신

시리얼이란?
시리얼은 거의 모든 PC에서 표준으로 사용되는 디바이스 통신 프로토콜입니다. 시리얼의 개념을 USB의 개념과 잘 구분하십시오. 대부분의 컴퓨터에는 2개의 RS232 기반 시리얼 포트가 있습니다. 시리얼은 또한 여러가지 디바이스에서 계측을 위한 일반 통신 프로토콜이며, 여러 GPIB 호환 디바이스에는 RS232 포트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원격 샘플링 디바이스로 데이터 수집을 하는 경우에도 시리얼 통신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시리얼 통신의 개념은 간단합니다. 시리얼 포트는 정보의 바이트를 한번에 한 비트씩 순차적으로 송수신합니다. 한번에 전체 바이트를 동시에 전달하는 병렬 통신과 비교하면 시리얼 통신은 속도가 느리지만 훨씬 간단하며 장거리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병렬 통신용 IEEE 488 스펙을 보면 기기간 케이블링은 총 20 m 미만이어야 하며, 두 개의 디바이스간은 2 m 미만이어야 합니다. 반면 시리얼 통신은 최대 1.2 Km의 통신거리를 보장합니다.

통상 엔지니어들은 ASCII 데이터를 전송할 때 시리얼 통신을 사용합니다. 이 때 송신용 (Tx), 수신용 (Rx), 그라운드용 (GND)의 세 가지의 전송 라인을 사용하여 통신합니다. 시리얼은 비동기식이므로 포트는 한 라인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고 다른 라인에서 데이터를 수신합니다. 핸드쉐이킹용 라인도 사용 가능하지만 필수 요구사항은 아닙니다. 시리얼 통신의 가장 중요한 특징에는 보드 속도 (baud rate), 데이터 비트, 정지 비트, 패리티가 있습니다. 두 개의 포트가 통신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파라미터가 반드시 적절하게 맞춰져야 합니다.

보드 속도는 통신의 속도를 측정하는 수치이며 초당 비트 전송 숫자로 표시됩니다. 예를 들어 300 보드 속도는 초당 300 비트를 의미합니다. 엔지니어들이 흔히 말하는 클럭 주기는 보드 속도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프로토콜에 4800 보드 속도라고 나오는 경우 클럭이 4800 Hz로 작동한다는 뜻입니다. 즉, 시리얼 포트는 4800 Hz로 데이터 라인을 샘플링합니다. 전화선의 일반적인 보드 속도는 14400, 28800 또는 33600입니다. 보다 높은 속도도 가능하지만 그 경우 디바이스를 분리할 수 있는 거리가 줄어들게 됩니다. 따라서 엔지니어들은 디바이스가 같은 장소에 위치해 있는 디바이스 통신에 높은 보드 속도를 사용하게 되며, 그 예로 GPIB 디바이스를 들 수 있습니다.
데이터 비트는 전송되는 실제 데이터 비트의 측정값을 의미합니다. 컴퓨터가 정보 패킷을 보낼 때 실제 데이터의 양은 전체 8 비트가 되지 않습니다. 데이터 패킷의 표준 값은 5, 7, 8비트입니다. 어떤 정보를 전송하느냐에 따라 어떤 세팅을 선택할 지를 결정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표준 ASCII는 0 ~127 (7 비트)의 값을 가집니다. 확장된 ASCII는 0 ~ 255 (8 비트)를 사용합니다. 전송하려는 데이터가 단순 텍스트 (표준 ASCII)일 경우, 패킷당 7비트의 데이터를 보내면 통신에 무리가 없습니다. 패킷은 단일 바이트 전송을 의미하며, 시작/정지 비트, 데이터 비트, 패리티가 포함됩니다. 실제 비트의 수는 선택된 프로토콜에 따라 달라지므로 모든 경우를 포괄하는 “패킷”이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
정지 비트는 단일 패킷에 대한 통신의 종료를 알리는 데 사용됩니다. 일반적인 값은 1, 1.5, 2 비트입니다. 데이터는 모든 라인을 통해 클럭되며 각 디바이스에는 고유의 클럭이 있기 때문에 두 개의 디바이스는 동기화가 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지 비트는 전송의 종료를 알려줄 뿐 아니라 클럭 속도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완충 역할을 합니다. 더욱 많은 비트가 정지 비트에 쓰이면 다른 클럭을 동기화할 수 있지만 데이터 전송 속도는 느려집니다.
패리티는 시리얼 통신에서 에러를 체크하는 데 사용됩니다. 패리티에는 짝수, 홀수, 마크, 스페이스 패리티의 네 가지 형태가 있습니다. “패리티 없음”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짝수 및 홀수 패리티를 이용하면, 시리얼 포트는 패리티 비트 (데이터 비트 뒤에 따라옴)를 특정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전송에 logic-high bits가 짝수개 또는 홀수개 있음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데이터가 011이고 짝수 패리티를 선택했다면 logic-high bits가 짝수개 있으면 패리티 비트는 0 입니다. 홀수 패리티를 선택했다면 logic-high bits가 홀수개 (3개)이므로 패리티 비트는 1이 됩니다. 마크 패리티와 스페이스 패리티는 데이터 비트를 체크하는 기능이 없으며 단지 마크 패리티의 경우 패리티를 높게, 스페이스 패리티의 경우 패리티를 낮게 설정합니다. 따라서 수신 디바이스가 비트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되므로 소음으로 인한 데이터 방해 여부나 송수신 디바이스 클럭 동기화 여부 등을 알 수 있습니다.

RS232 개요
RS232는 IBM 호환 PC에서 쓰이는 시리얼 연결입니다. 엔지니어들은 컴퓨터를 센서 또는 모뎀에 연결하거나 계측기 컨트롤 등 여러 용도로 RS232를 사용합니다. RS232 하드웨어는 최장 15 m (50 ft)까지 통신 가능하며, PC 시리얼 포트와 디바이스간 포인트 투 포인트 연결로만 사용이 국한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추가의 RS232 시리얼 포트가 요구되기도 합니다. 표준 PC RS232 시리얼 포트 및 여러 시리얼 인터페이스 공급업체는 시리얼 통신에서 데이터 송수신에 Win32 API를 사용합니다. Win32 API는 원래 모뎀 통신을 위해 개발되었으며 전체 RS232 프로토콜을 실행하지 않으므로 특정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없습니다.

내쇼날인스트루먼트는 PCI, USB, PCMCIA, ExpressCard, PXI, 이더넷 등 여러 다양한 플랫폼에서 RS232 시리얼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플랫폼에 따라 NI Serial 인터페이스는 1, 2, 4, 8 및 16 포트 버전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또한, NI RS232 시리얼 인터페이스는 최고 1 Mb/s의 고속 보드 속도, DMA 전송을 통한 CPU 최소 사용, 최적화된 2000 V 포트간 절연, 구성 가능한 비표준 보드 속도와 같은 향상된 기능을 제공합니다. NI의 모든 시리얼 인터페이스에는 NI-Serial 드라이버 소프트웨어가 포함되므로 전체 RS232 프로토콜을 실행하고, 신속한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하이레벨, 사용하기 쉬운 함수를 제공합니다.

라고 합니다 ( 발췌본입니다 )

포장 공정에서 라벨프린터에 PLC랑 I/F를 위한 기반작업중이라 남겨놓습니다.!!


EIF (External Interface Files, 외부연계파일)

외부연계파일(EIF)은 사용자가 식별할 수 있는 논리적으로 연관된 데이터 그룹 또는 제어정보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경계 내부에서 유지되고 측정 대상 어플리케이션이 참조한다. 외부연계파일(EIF)의 주요 의도는 측정 대상 어플리케이션 경계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위 프로세스를 통하여 참조된 데이터를 보관하는데 있다. 이것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에서 외부연계파일(EIF)로 측정된 것은 반드시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내부논리파일에 존재해야 함을 의미한다.

이라는 데 확실히 감이 안 잡히네요…

2018-11-21 추가
EIF라는게 물리적은 파일일줄 알았는데….S/W형태로 EIF 서버를 구축해서 PLC나 마킹기 전자저울 등의 정보를 수집하는 망을 통한 I/F를 프레임웍화 해 놓은 하나의 시스템을 말하는 경우가 많다는 걸 알았습니다…UI <-> EIF서버 <-> PLC(마킹기 등등..)의 정보전달을 전담하는 역할을 하더라고요..


SCM(Supply Chain Management, 공급망 관리)

공급망관리 연구실 (Operations & Supply Chain Management Laboratory)에서는
생산 시스템의 계획에서부터 운영 및 물류에 이르는 생산에 관련된
전반적인 분야를 연구하고 있다.

산업공학이 다루는 여러 가지 학문 분야 중에서도
공급망관리, 재고관리, 일정계획, 시뮬레이션을 다루고 있으며
제조업체 및 서비스업체의 공급망에 대한 최적 설계와 운영 전략 제시를 연구하고 있다.

주로 사용하는 기법은 수리계획법, 휴리스틱 및 메타휴리스틱 기법, 시뮬레이션을 사용하고 있으며,
프로토타입 시스템 개발도 수행하고 있다.

연구 과제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Tex, Gauss, Arena, Siman, Lindo, Lingo 등의 주요 소프트웨어와
Visual Basic, Delphi, C, C++, Visual C++, Java, C#, API, MS SQL,등의
프로그래밍 언어들을 활용하고 있다.


NCR(Non-Conformance Report, 부적합사항보고서)

부적합의 기준은 공정, 산업마다 다르겠지만

규정(규격에 맞지 않는)되지 않은 부적합품 발생시, Lot No, 수량, 부적합 발생 내용 등을 적는 보고서 라고 합니다.

보고서 작성 이후 프로세스를 통하여 그냥 사용할지, 폐기할지 등의 결정이 됩니다, 또한 이후에 검사(검증)절차와 시험을 다시 시행해야 한다고 합니다.

PNCR이란 말도 들어본듯 한데, Process-NCR로 받아들여지긴 하는데 아직은 잘 모르겠네요.


RTDB(Real-Time Database, 실시간 DB)

제 입장에서 RTDB보단 RDB(Relational Database, 관계형 DB)가 익숙합니다 뭐 Oracle이나 MS-SQL, MariaDB 같은걸 사용해왔으니까요…

사실 이 글을 작성하는 (2018-10-16) 기준으로는 RDB도 실시간이지 않나? 라는 생각을 해봅니다만은..ㅠㅠ

그래서 용처에따른 구분을 하고싶어서 검색해본 결과로는

RTDB (Real-Time Database)는 현장의 운전 데이터 (Process Variable, Set Point, Output, Mode, 등)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저장하여 시스템입니다.

주로 RTDB의 데이터는 Time Stamp, Tag, Description, Value, Confidence를 가진 단순 데이터로써, ORACLE / MS-SQL 같은 RDB (Relational DataBase) 보다는 사용자가 찾을 때 빠르게 데이터를 지원할 수 있도록 시간 순으로 ASCII 형태로 차곡 차곡 쌓아놓는 방식으로 저장 합니다.

물론, Tag 관련 정보 (Tag Name, Description, Data Type, Range, Set Value, 등)는 RDB에 저장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따라서 잘 설계된 RTDB는 RDB와 상호 연결이 쉽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또한, RTDB는 전문가가 아닌 현업을 잘 알고 있는 공정 엔지니어들이 운전 / 이력 / 생산 / 경보 / 설비 관리를 위하여 쉽게 할 수 있도록 다양한 Application 기능들이 포함되어 있어야 합니다.


에서 읽었던 댓글이 이해가 빠르게 되더라고요.

실제로 이번 참여하고있는 MES프로젝트에서도 RTDB의 용도는 현장의 운전데이터에 집중되어 사용되고 있네요


DCS ( Distributed Control System, 분산제어시스템)

공정제어에 적용되는 시스템을 각 플랜트에 알맞은 단위 서브 시스템으로 분리하고 소단위 시스템에서는 각각의 주어진 역할을 수행하며, 상호간에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이라고 합니다.

참고링크